학회소개       입회안내       논문투고       논문검색       학술대회       갤러리/자료실       커뮤니티      |      서울국제문화예술협회
  논문투고
PAPER CONTRIBUTION
투고규정윤리규정심사규정원고작성규정
조회 수 1456 추천 수 0 댓글 0
원고작성규정
 
 International Society of Culture & Arts

 

논문체제

 

1. 논문의 작성은 다음 체제에 준한다.

1) 논문은 워드프로세서 글 프로그램으로 설정용지 15매 내외로 하며 학회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 접수 및 투고한다. 제출된 논문은 반환하지 않는다.

2) 논문은 표제(제목, 저자), Abstract, Key words, 본문, 참고문헌, 국문요약, 핵심어 순으로 구성한다.

3) Abstract와 국문요약은 각각 첫 페이지와 마지막 페이지에 분량은 편집양식 기준으로 여백 없이 구성한다.

4) 원고 첫 페이지인 표제 부분은 논문 제목, 연구자 성명, 소속 및 직위 순으로 기재하며, 전체적인 논문 체제는 다음과 같다.

- 논문 제목(국문)

- 저자(소속 및 직위)(국문)

- Abstract / Key words

- 사사표기 / 교신저자 E-mail

- 서론

- 연구방법

- 결과 (결과 및 논의)

- 논의

- 결론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국문요약 / 핵심어

연구자 소속기관 표시

단독연구 : 홍길동(한국대학교 교수)

공동연구 : 유관순(한국대학교 연구교수)ㆍ김관순(한국대학교 교수)

5) 논문의 부제는 순차적인 일련 번호(, 1, 1), (1), ①…)에 따라 표기한다.

6) 핵심어(key words)는 논문의 중요한 단어를 5개 이내 표시한다. 영문 Key words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쓴다.

7) 이론적 배경(혹은 관련 연구)은 간결하게 분석 요약하여 서론 부분에 포함시킨다.

8) 첫 페이지 하단에 교신저자 E-mail을 표기한다.

2. 원고의 서식은 다단으로 하여 국문으로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부득이하게 한자나 외국어를 사용할 경우에는 ( )를 이용하여 병기한다.

3. , 문헌연구 형식의 경우에 서론과 결론 및 제언 부분의 형식을 갖추고, 나머지 부분의 체제는 논문주제와 방법의 특성에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그림 및 표 작성

 

1. 그림은 인쇄용 원고로 직접 사용할 수 있도록 선명하게 작성해서 첨부한다. 필요에 따라 편집부에서 원본파일을 요청할 수 있다.

2. 표 및 그림 제목의 번호를 본문에서 설명 할 경우 <1> 또는 <그림 1>로 괄호를 사용해서 표기하고, 표와 그림에서는 표 1. 또는 그림 1. 과 같이 괄호 없이 표기한다.

3. 양적연구에서 통계결과를 나타내는 표는 반드시 가로 선으로만 작성한다. , 특별한 의미를 나타낼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세로 선도 사용할 수 있다.

4. 표의 제목은 표의 상단 좌측에, 그림의 제목은 그림 하단의 중앙에 표기한다.

5. 표 및 그림이 인용된 자료일 경우 표, 그림의 하단에 참고문헌 형식으로 제시한다.

 

수학 및 통계기호 표기

 

1. 논문 작성에 사용된 모든 원자료(raw data)는 논문 출간 후 최소 3년간 보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통계 혹은 수학식이 새로운 것이거나 꼭 필요한 경우 논문에 제시하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통계치 공식은 본문에서 설명하지 않는다.

3. 통계치를 제시할 때 통계치 기호와 자유도(df), 통계치 및 유의수준을 함께 제시하고, 유의수준의 소수점 앞에 0을 쓰지 않는다(p=.01).

4. 통계기호와 약호와 기호는 다음 표의 기준에 따르며, 이외의 통계적 약호 기호는 미국심리학회 출판 매뉴얼(Publication Manual of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th Ed., 141-144)을 참조한다.

 

 

약호, 기호

정의

비고(서체)

MANOVA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 다변량분석

정체

ANOVA

Analysis of variance / 변량분석(univariate)

df

Degree of freedom / 자유도

이탤릭

f

Frequency / 빈도

F

Fisher's ratio/Fisher's F

Ho

Null hypothesis under test / 영가설

H1

Alternative hypothesis / 대립가설

M

Mean / 산술평균

Mdn

Median / 중앙치

MS

Mean square / 평균자승

n

Number of subsample / 하위 집단 사례수

N

Total number in a sample / 전체 표본 사례수

ns

Nonsignificant /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

p

Probability / 확률

P

Percentage, percentile / 백분위

r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 상관계수

R2

Multiple correlation squared / 결정계수

SD

Standard deviation / 표준편차

SE

Standard error (of measurement) / 표준오차

SEM

Structural equation model / 구조방정식 모형

정체

SS

Sum of square / 자승합

이탤릭

x

Abscissa (가로좌표, 그래프의 수직 축)

이탤릭

y

Ordinate (세로좌표, 그래프의 수평 축)

z

A standard score / 표준점수

SS

Sum of square / 자승합

α

Alpha / 일종오류 확률, Cronbach's 내적일관성 지수

정체

β

Beta/이종오류 확률, 표준화 다중회귀계수

X2

Computed value of a chi-square test / 카이자승 통계치

 

5. 수식과 단위는 다음 표기에 따른다.

 

옳은 표기

틀린 표기

옳은 표기

틀린 표기

단위

pH 6.0

PH 6.0 pH6.0

12 cm

12cm

15 MPa

(mega pascal)

15 mPa 15 Mpa

8 m

8 M

15%

15 %

10 μm

10μm 10μ

28%(w/v)

28 %(w/v) 28 %(W/V)

22 g

22g

0.14 mg%

0.14mg% 0.14 mg %

51 kg

51kg 51Kg 51kgs

20 ppm

20ppm 20PPM

36 ml

36mL 36 ml.

1×10-3 M

1×10-3M

20 L

20l 20.0 l 20.0L

범위

12.5 hr

12.5hr 12.5hrs

3.8 min

3.8min 3.8mins

0.5-0.8 g

0.5~0.8 g

0.5 - 0.8 g

10 sec

10 sec. 10 s

30 mm/min

30mm/min

수식

25 m/sec

25m/sec

0.001

.001

25〫℃

30

(a+b)/(c+d)

a+b/c+d

 

문헌 인용

 

1. 본문에서 문헌을 인용할 경우 국내문헌은 성과 이름 전부를, 외국문헌은 성(family name)을 발행연도 및 페이지와 함께 괄호 속에 표시한다.

2. 인용할 때 본문에는 저자, 연도, 페이지를 표시하고 참고문헌에 완전한 출처를 제시한다. , 저자가 단체인 경우 처음 인용 때는 단체명을 모두 쓰고, 그 이후부터 약어로 표시한다.

3. 각주는 사용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짧은 인용(40단어 이하)은 본문 속에 포함시키고 직접인용은 부호 “ ”로 인용문을 표시한다. 40단어 이상의 인용문은 본문과 별도로 적고 인용부호는 생략한다. 아래 위로 한 단씩 문단을 띄고 왼쪽, 오른쪽 여백을 20로 지정한다.

4. 저자가 1인 또는 2인의 경우에 본문에 인용될 때마다 모두 표시한다.

[예시]

홍길동과 임꺽정(2006)............

HarterDuda(2003)............

5. 저자가 3인 이상인 경우 첫 인용은 모두 표기하고 반복 인용될 때에는 제 1연구자만 쓰고 을 첨가한다. 저자 6인 이상인 경우에는 첫 인용부터 을 표기한다.

[예시]

홍길동, 유관순 및 임꺽정(2002)은 춤이 .......... 첫 인용

홍길동 등(2002)은 춤이 ............ 반복인용

Duda, Smith Wang(2006)은 미적 경험이 .......... 첫인용

Duda (2003)은 미적 경험이 ............. 반복인용

6. 같은 연도, 같은 성을 가진 다른 2명 이상의 저자 논문을 참고한 경우에 성과 이름의 첫 글자를 쓰고, 한국인은 이름 전부를 표시한다.

[예시]

........... 미적 경험(Sarter, A. 2003; Farter, N. 2006), ..

7. 같은 저자의 복합인용은 연대순으로 하며 “,”로 띄어 쓰고, 저자명은 각 논문마다 반복하지 않는다.

[예시]

국문의 경우: (홍길동, 2001, 2002).

영문의 경우: (Sarter, 2001, 2002).

8. 같은 연도에 동일 저자에 의한 2편 이상의 논문은 연도를 표시한 후 a, b, c 등으로 첨부하되 저자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예시]

국문의 경우: (홍길동, 2001a, 2001b)

영문의 경우: (Sarter, 2001a, 2001b)

9. 본문 내용에서 다른 저자들이 같은 내용에서 동시에 인용될 때는 한국인 저자가 먼저 가나다 순으로, 그 다음 외국인은 알파벳 순으로 괄호내용에 ( ; )를 이용하여 표시한다.

[예시]

......... 작품의 미적 특성에 관한 연구들(김길동, 2001; 남길동, 2001; 마길동, 2003; Harter, 2001; Immes, 1999; Roberts, 2003) .........

10. 저자가 6인 이상의 경우에 처음부터 한국인은 첫 저자의 이름 전부와 등(), 외국인은 성과 등(et al.), 연도를 표시한다. 참고문헌에는 전체 저자의 이름을 표시한다.

[예시]

홀길동 등(2020)은 조선시대 궁중연희에 관한 연구에서 .... 첫 인용, 반복인용 모두

Sarter (2009)은 무용의 미적 특성에 관한 연구에서 .... 첫 인용, 반복인용 모두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의 작성은 국문문헌, 영문문헌 순으로 국문은 가, , 다 순으로, 영문은 알파벳 순으로 표기한다. 세부 주요 작성 원칙은 다음과 같다.

 

1) 정기 간행물 표기

저자, 출판연도, 논문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학술지게재면을 표시한다.

저자의 수와 관계없이 성(family name)을 먼저 쓰고, 이름은 머리글자로 쓴다.

2인 이상의 저자인 경우에는 마지막 저자 앞에 & 기호를 사용한다.

국문문헌 표기의 경우 마지막 저자 앞에 & 기호를 쓰지 않는다.

제목의 첫 단어와 부제의 첫 단어, 그리고 고유명칭만 대문자로 쓴다. , 제목과 하위제목 사이에는 “ : ”를 표시한다.

영문문헌 표기의 경우 편집상 양쪽정렬이 불가피한 단어 간 공간 여백 불균형은 분철로서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학술지명은 소문자와 대문자를 사용하여 모두 기입한다.

[저자 1명인 경우]

홍길동(2000). 한국 영화의 탐구. 한국영화연구, 4(3), 23-53.

Bonbright, T. M. (1999). NAEP and dance: On contextual data process, and problems in dance assessment, and recommendations for the field. Arts Education Policy Review, 37(6). 12-30.

[저자 2명인 경우]

홍길동, 유관순(2000). 한국 영화의 탐구. 한국영화연구, 4(3), 23-53.

Bonbright, T. M., & Aonbright, A. M. (1999). NAEP and dance: On contextual data process, and problems in dance assessment, and recommendations for the field. Arts Education Policy Review, 37(6), 12-30.

[저자 6인 이상인 경우]

Aonbright, T. M., Sarter, S., Lim, K., Roberts, P., Fang, K., McGreevy-Nichols, S., et al. (2001). NAEP and dance: On contextual data process, and problems in dance assessment, and recommendations for the field. Arts Education Policy Review, 37(6), 12-30.

[신문 기사]

홍길동(2020.05.01). 한국 문화의 변. 한국일보, 웹사이트 주소, [검색일 2020. 04. 15]

 

2) 단행본 참고문헌의 표기

저자, 출판연도, 서명, 출판사소재, 출판사명.

책이 재판 이상으로 간행된 경우 책제목 다음에 판수를 기재한다.

 

[단행본]

홍길동, 유관순(2010). 한국의 예술. 서울: 학문사.

Judith, A. G.(1989). Dance instruction: Science applied to the art of movement.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편저]

홍길동, 유관순 (2020). 한국의 예술. 학문사.

Judith, A. G.(Ed.).(1989). Dance instruction: Science applied to the art of movement.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3) 학술대회 자료

 

[출판된 자료집]

홍길동(2005). 온라인 예술콘텐츠 개발의 실제. 3회 국제문화예술포럼자료집, 34-38.

Judith, A. G. (1989). Dance instruction: Science applied to the art of movement. In R. Roberts (Ed.), New York Symposium on Cultural Heritage. New York: Prentice Hall.

[포스터 발표]

홍길동(2005). 온라인 예술콘텐츠 개발의 실제. 3회 국제문화예술포럼자료집, 포스터 발표, 34-38.

Judith, A. G. (1989, April). Dance instruction: Science applied to the art of movement. Poster session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Society for Dance Heritage, New York.

 

4) 온라인 전자문서의 표기

 

[전자 저널]

Judith, A. G. (1989, April 17). Dance instruction: Science applied to the art of movement. Traditional Arts, 3, Article 002a. Retrieved May 20, 1989, from http://journal.org/arts/volume3/ pre00311.html.

[웹사이트 자료]

- 문화재청(2005). http://www.cha.go.kr/main.html [검색일 2020. 02.01]

- 홍길(2005.05.04). 코로나로 지친 심신온라인 공연으로 치유하자. 뉴시스 https://www.news1.kr/articles/?3924451 [검색일 2020. 05.05]

- Dance Instruction Society 2002, Task Force on Adolescent Issues. (n.d.) Who applied to the art of movement? Retrieved April 5, 2002, from

http://www.artmovement.org.

5) 참고문헌의 축약형 용어 표기

 

축약형

기본 용어

축약형

기본 용어

Chap.

ed.

Rev. ed.

2nd ed.

Ed.(Eds.)

Trans.

n.d.

chapter

edition

revised edition

second edition

Editor(Editors)

Translator(s)

no date

p.(pp.)

vol.

vols.

No.

Pt.

Suppl.

 

page(pages)

Volume

volumes

Number

Part

Supplement

 

 

국제문화&예술학회 편집양식

 

 

서체(영문)

장평

(%)

자간

(%)

급수(pt)

행간

내어

쓰기

들여

쓰기

논문 제목

휴먼명조

90

-10

15

100

 

가운데

부 제목

휴먼명조

90

-10

12

100

 

가운데

한글 이름

휴먼명조

100

0

10

150

 

가운데

한글 소속, 직위

휴먼명조

100

0

10

150

 

가운데

영문 논문 제목

Times New Roman

100

0

14

120

 

가운데

영문 부제목

Times New Roman

100

0

11

120

 

가운데

영문 이름

Times New Roman

100

0

10

150

 

가운데

영문 소속

Times New Roman

100

0

10

150

 

가운데

요약(국문)

휴먼명조

98

-7

9

140

 

왼쪽(진하게)

요약 본문

휴먼명조

98

-7

9

140

 

양쪽 정렬

핵심어

휴먼명조

98

-7

9

140

 

왼쪽

Abstract

Times New Roman

100

0

9

140

 

왼쪽(진하게)

Abstract 본문

Times New Roman

100

0

9

140

 

양쪽 정렬

Key words

Times New Roman

100

0

9

140

 

왼쪽

장 제목(서론)

휴먼명조

90

-10

11

180

 

가운데(진하게)

1. 제목

휴먼고딕

95

-10

11

180

 

왼쪽(진하게)

1) 제목

휴먼명조

95

-10

10

180

 

10pt

본문

휴먼명조

90

-10

10

160

 

10pt

본문 직접인용

휴먼명조

90

-10

9

160

 

왼쪽, 오른쪽 여백 20

표 제목

휴먼고딕

90

-10

9

130

 

왼쪽

표 내용

휴먼고딕

90

-10

9

120

 

적절히 조절

그림 제목

휴먼고딕

90

-10

9

130

 

가운데

참고문헌

휴먼명조

90

-10

13

160

 

가운데(진하게)

참고문헌 내용

휴먼명조

90

-10

10

160

30pt

가운데

1) 용지규격: 190mm, 길이 260mm이다.

2) 용지여백 위: 16mm, 아래: 17mm, 오른쪽, 왼쪽: 20mm, 머리말: 14mm, 꼬리말: 11

 

 

 

부 칙

1. (시행일) 이 규정은 2020.5.1.부터 시행한다.

2. 이 규정은 2025.3.1. 개정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논문작성규정(2025.3.1. 개정) update 관리자 2020.05.12 1456
3 논문심사규정(2025.3.1. 개정) update 관리자 2020.05.12 1013
2 연구윤리규정(2025.3.1. 개정) update 관리자 2020.05.12 647
1 투고규정(2025.3.1. 개정) updatefile 관리자 2020.05.12 7325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국제문화&예술학회  05545 서울 송파구 방이동 51-2 청호오피스텔 701호
tel 010.8228.3107(간사)   fax 02.410.6888   mail jica2020@naver.com
Copyright 2020. jica.co.kr  All rights reserved.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